-
2025년 4월 9일(수요일)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오전 7시(한국 시간 오후 8시) 경제 및 금융시장 동향연구실/조사 2025. 4. 10. 09:00
2025년 4월 9일(수요일)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오전 7시(한국 시간 오후 8시) 현재, 최근 경제 및 금융시장 동향
1. 거시경제 지표 & 통화정책
- 미국 경제 지표: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는 없었습니다.
- 중앙은행 정책: 연방준비제도이사회(Fed)는 최근의 무역 긴장과 시장 변동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.
2. 금융시장 동향
- 주식시장:
- 미국: 전일(4월 8일) 뉴욕증시는 무역 긴장 고조로 인해 하락 마감하였습니다.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320.01포인트(-0.84%) 하락한 37,645.59에, S&P 500 지수는 79.48포인트(-1.57%) 하락한 4,982.77에, 나스닥 지수는 335.35포인트(-2.15%) 하락한 15,267.91에 마감하였습니다.
- 아시아: 아시아 증시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 일본 닛케이 지수는 3.93% 하락한 31,714.03에 마감하였습니다.
- 채권시장: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상승하여 4.328%를 기록하였습니다.
- 외환시장: 달러 인덱스는 전일 대비 0.25% 상승한 103.03을 기록하였습니다.
- 원자재시장: 국제 유가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 서부텍사스산원유(WTI)는 전일 대비 2.7% 하락한 배럴당 57.98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.
3. 주요 뉴스/이벤트
-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: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54%에서 추가로 50% 인상하여 총 104%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 미중 무역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.
- 중국의 대응: 중국 정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, 보복 조치를 예고하였습니다.
4. 오늘·이번 주 일정
- 4월 9일: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 회의록 공개 예정.
- 4월 10일: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 예정.
- 4월 11일: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(PPI) 발표 예정.
5. 종합 시사점 & 간단 전망
- 단기 리스크: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증대되고 있으며, 이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
- 중장기 전망: 무역 분쟁의 장기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, 향후 각국의 정책 대응과 협상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
이러한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여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고, 위험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
'연구실 > 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D 작성하는 방법 (0) 2025.01.19 [스크린샷] 카카오 대리 (0) 2024.11.16 [스크린샷] 카카오 소셜 오디오 플랫폼 "음mm" (0) 2024.11.16 [스크린샷] 나이키 런 클럽 (0) 2024.11.16 [스크린샷] 코빗, 저금통 (0) 2024.11.16